부모교육 4

“나는 못했지만 너는 잘해야 해”라는 말의 심리학적 함정

부모의 결핍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사랑받지 못하고 자란 부모, 성적이 낮았던 부모가 아이에게 끼치는 정서적 유산  부모가 자신의 과거 결핍을 인식하지 못하면, 그 그림자는 자녀에게 그대로 전해집니다. 사랑받지 못한 부모, 성적이 낮았던 부모는 어떤 방식으로 자녀에게 영향을 줄까요? 이 글에서는 정신과 의사의 견해와 실제 상담 사례를 통해 결핍의 대물림을 멈추는 방법을 함께 살펴봅니다.    부모도 아이였던 시절이 있다“사랑받지 못한 부모는 어떻게 사랑을 줄 수 있을까?”심리학자들은 흔히 “결핍은 결핍을 낳는다”고 말합니다. 부모가 된다는 것은 단순히 아이를 돌보는 역할을 넘어서, 자신의 과거를 되돌아보게 되는 작업입니다. 특히 어린 시절 부모에게 충분한 애정을 받지 못했거나, 성적·사회적 성취에 대한..

청소년 상담 2025.04.10

SNS로 뒤바뀌는 청소년의 감정

비교와 자극의 영향, 그리고 감정의 왜곡  “나만 빼고 다 행복해 보여요.”상담실을 찾은 중학생 정환이는 SNS 속 친구들의 사진을 보며 한숨을 쉬었습니다."쌤, 진짜 신기한 게요. 인스타 보면 애들은 다 행복한데, 왜 전 더 불행해질까요?"수민이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청소년들은 SNS를 보며 감정을 만들어내고, 왜곡당하고, 상처받고 있습니다.기쁨도, 우울도, 열등감도, 흥분도...모두 손바닥 안에서 스크롤 한 줄로 바뀌는 감정 시대.우리는 이 문제를 단순한 사용 시간의 문제가 아니라, 정서의 구조와 연결된 문제로 바라봐야 합니다.1. SNS는 청소년 감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청소년은 감정을 통해 자아를 탐색하고 세상을 받아들이는 시기에 있습니다.이 시기의 감정은 매우 불안정하고..

청소년 상담 2025.04.04

“감정을 말로 표현하지 않는 아이, 어떻게 마음을 열게 할까?”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님께,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지 않을 때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지에 대한 가이드를 드리고자 합니다.​청소년 상담사의 시선에서 본 실천적 제안 청소년기는 정서적 자율성과 자기 정체성이 발달하는 전환기로, 내면의 불안정성과 감정 기복이 두드러지는 시기입니다..그러나 부모들은 종종 “우리 아이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아요”,“물어봐도 ‘몰라요’밖에 안 해요”라며 자녀의 감정 표현 부족에 대해 호소합니다.겉으로는 무덤덤해 보여도, 실제로는 강한 감정이 내면에 억눌려 있을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청소년기의 감정 표현 부족 현상을 발달심리학과 상담 이론을 토대로 살펴보고,부모가 일상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지원 방법과 상담 사례를 통해 현실적인 개입 전략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청소년기는 정서적 ..

청소년 상담 2025.04.04

청소년기의 정서조절과 인지적 오류, 그들의 마음을 어떻게 도와야 할까?

청소년기의 감정조절과 인지적 오류감정이 불안한 아이들, 그 뒤에 숨어 있는 생각을 이해하기청소년기는 정서적으로 예민하고 불안정한 시기입니다.부모로서 자녀가 어느 날 갑자기 짜증을 내고, 말 없이 방에 틀어박히거나,"그냥 다 싫어요", "저는 없어도 될 것 같아요" 같은 말을 하면 당황스럽고 걱정되실 수 있습니다.이런 반응은 단순히 사춘기라서 그런 것이 아니라,자녀의 정서조절 능력과 인지적 사고방식이 아직 안정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정서조절 능력이란 무엇인가요?정서조절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통제하며, 적절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말합니다.청소년은 신경계가 미성숙하여, 감정과 충동을 조절하는 전두엽이 아직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습니다.그래서 화가 나면 참지 못하고 말이나 행동으로 표출하거나,작은 일에도 우울..

청소년 상담 2025.04.04